가계부실위험지수(HDRI)는 가구의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가계의 소득 흐름과 금융 및 실물 자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 산출방법
이 지표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결합하여 산출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에 따른 분류 기준
가계부실위험지수는 DSR과 DTA가 각각 40%와 100% 일 때 100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표는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합니다.
위험가구는 소득과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 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 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험가구 및 고위험가구는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이나 임계상황에 직면한 가구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가구의 채무상환 능력의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의 산출 목적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계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고 정책 결정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예측하고 가계의 채무 부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계부채 문제를 예방하고, 적절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일반 대중에게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개인들은 자신의 가계부실위험지수를 파악하여 적절한 금융 관리와 채무상환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고 불필요한 부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종합적으로,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가계의 소득과 자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이를 통해 가구와 경제의 안정성을 예측하고 적절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개인들은 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경제적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머리에 쏙!쏙!! 경제용어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연계증권(ELS) 주식과 수익을 연결시키는 특별한 투자상품 (5) | 2023.07.18 |
---|---|
고객확인절차(KYC) 신원 확인과 금융 범죄 예방을 위한 필수 절차 (3) | 2023.07.15 |
토지리턴제 리스크 완화를 위한 토지 매매의 새로운 방식 (3) | 2023.07.13 |
실질임금 구매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 지표 (9) | 2023.07.12 |
뮤추얼펀드 다양한 투자 기회와 재정적 안정을 향한 길 (4)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