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지수는 한 나라의 경제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더한 뒤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통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미국의 경제학자 아더 오쿤(Arthur Okun)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다.
고통지수는 국가 간에 비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는 각 나라에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측정하는 방법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대적인 비교지수로 사용하기는 어렵지만, 삶의 고통을 계량화할 수 있는 유일한 지표로 인정받아
국제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경제적인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면서 고통지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연구기관인 와튼계량경제연구소(WEFA)와 국제통화기금(IMF)은 매년 국가별로 고통지수,
또는 Misery Index를 발표하고 있다.
이 지수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으로 계산되는데,
(예를 들어 물가상승률이 8%이고 실업률이 7%인 경우 고통지수는 15가 된다.)
이를 통해 각 국가의 경제적인 상황과 국민의 고통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LG경제연구원이 생활경제고통지수(Economic Misery Index)를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 지수는 국내의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실질적인 고통 정도를 측정한다.
LG경제연구원은 이를 통해 국내 경제의 변동성과 국민의 생활 수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고통지수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국가의 상황을 평가하고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고통지수가 높을수록 국민들은 실질적인 어려움과 고통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정책 결정자들에게 경제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고통지수는 국가의 경제적인 안정과 국민의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계속해서 관심을 받을 것이다.
'머리에 쏙!쏙!! 경제용어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몰비용 경제적 의사 결정의 핵심요소 (11) | 2023.06.30 |
---|---|
주식 IPO (Initial Public Offering)의 개념 과정 장점과 단점 (18) | 2023.06.29 |
신용경색 금융시스템의 위기와 대응전략 (7) | 2023.06.27 |
금리와 채권 수익 창출의 관계 이해 (31) | 2023.06.26 |
공매도에 대한 이해 시장에서의 도박 혹은 유용한 전략? (34)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