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학기부터에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늘봄학교를 운영을 시작했어요
24년 1학기에는 전국에 시범학교 2000곳에서 시행한 이후, 2학기부터는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참여를 희망하는 1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며, 2026년까지 모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늘봄학교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반응형
이 글에서는 늘봄학교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서 기존 돌봄 교실과 비교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늘봄 학교와 돌봄 교실은 초등학교 아이들의 교육과 돌봄에 관련된 서비스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늘봄학교와 돌봄 교실 목적 및 프로그램 구성
- 돌봄 교실:
주로 방과 후 시간에 학생들을 돌보며 보호하고 간단한 활동을 제공합니다. - 늘봄 학교: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교육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해 종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늘봄 학교는 방과 후와 돌봄을 통합하고 개선한 프로그램으로, 단일체제로 운영됩니다.
이용 대상과 시간
- 돌봄 교실:
방과 후 시간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 시간은 주로 오후 1시부터 5시까지입니다. - 늘봄 학교:
초등학교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학교 시간 이후에도 지원이 가능하며 아침 시간부터 정규 수업 후 최장 오후 8시까지 운영됩니다.
비용 및 프로그램
- 돌봄 교실:
학부모가 프로그램 비용을 부담합니다. - 늘봄 학교:
프로그램 비용은 무료이며, 저소득층 등에게는 무료 수강권이 제공됩니다.
프로그램은 학교 인근의 고착화된 공급처뿐만 아니라 전문기관, 대학, 기업 등 우수 공급처를 확대하여 제공하고, 온라인 플랫폼인 "늘봄 허브"도 운영됩니다.
운영방식 및 인력 지원
- 돌봄 교실:
교사의 업무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늘봄 학교:
늘봄 지원실을 설치하여 교사의 행정 부담을 해소하고, 교육청에 늘봄 지원센터를 구축하여 운영합니다.
계획 및 예산
늘봄 학교는 2024년부터 운영이 시작되어 초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추가 예산이 필요하며, 현재는 이에 대한 예산 부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맺음말
늘봄 학교는 더 많은 교육 자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부모들에게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예산 및 인력 부족,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등 여러 가지 과제와 우려가 존재합니다.
결국 아이들의 교육과 복지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학교에 아이들을 오래 잡아두는 방향의 육아 지원대책이 아닌 부모들이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도록 사회 전반적인 인식과 제도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금융_정책 서비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문화예술패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 방법 알아보기 (1) | 2024.04.25 |
---|---|
더 경기패스 THE 경기패스 카드 특징 신청방법 혜택 총정리 (1) | 2024.04.24 |
2024 경기도 청년지원금 종류 및 혜택 정리 (1) | 2024.03.27 |
군 병 자기개발비용 신청 방법 및 지원대상 지원기간 (0) | 2024.03.07 |
2024 근로장려금 신청 기준 방법 지급금액 알아보기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