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_정책 서비스 정보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조건 대상자 만기금액 중도해지 시 혜택 유지 여부를 알아보자!

by 디렉터8099 2023. 6. 20.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고용노동부에서 시행되는 제도로, 청년의 초기 경력 형성과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반응형

이 글에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신청 조건과 대상자, 적립 구조, 만기금액 계산, 중도해지 시 혜택 유지 가능 여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예시 사진

 

 

 

 

 

 

신청 조건 및 대상자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할 수 있는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규직' 채용자
  • 만 15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
  • 파견근로자나 기간제근로자는 대상이 되지 않음
  • 고용보험 이력 조회를 통해 생애 최초 취업자이거나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인 사람
  • 고등학교나 대학생은 가입할 수 없으나 마지막 학기에 재학 중인 졸업 예정자는 가입 가능
  • 방송통신대, 학점은행제, 야간대학, 대학원 재학생도 가입 가능
  • 이미 청년공제에 가입했거나 월 급여가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가입 불가능

 

 

 

 

 

 

적립구조 및 만기금액 계산

적립구조는 청년-기업-정부 3자가 공동으로 2년간 1,200만 원을 적립하는 것입니다.

청년은 2년간 400만 원을 저금하고, 기업과 정부는 각각 2년간 400만 원을 적립해 줍니다.

 

만기금액은 청년의 자기 부담금 400만 원, 기업부담금 400만 원, 정부지원금 400만 원으로 총 1,200만 원에

이자를 합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2년간 50만 원씩 4%의 적금을 들어서 적립했다면, 최종 수령금액은 12,423,000원입니다.

 

 

 

 

 

 

중도해지 시 혜택 유지 가능?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중도해지할 경우, 해지사유와 가입기간에 따라 지급금액이 결정됩니다.

'기업사유'로 중도해지할 경우, 청년과 기업이 적립한 금액은 청년에게 돌아가고,

정부에서 지원한 금액은 일부만 지급됩니다.

 

이상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신청 조건과 대상자, 적립구조, 만기금액 계산,

그리고 중도해지 시 혜택 유지 가능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제도는 400만 원을 넣으면 1,200만 원으로 돌아오는 예금상품으로 매우 유익하기 때문에

대상이 되는 청년들은 꼭 가입하여 2년 만기까지 꽉 채워서 혜택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중도해지 시에는 귀책사유에 따라 지급금액이 달라지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만약 퇴사하게 된다면 이유에 따라 정부지원금 환급금이 결정되므로 주의해 주세요.

청년내일채움공제 예시 사진
사진을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